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보고서

11 10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➊ 말라리아 확진자의 성별에 따른 비교 확진자를 성별로 나누어 연령대와 연령 평균, 증상발현에서 확진까지의 소요일을 비교하였을 때, 연령대의 분포, 연령 평균, 증상발현-확진소요일 평균에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 남성의 경우 20대가 33.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40대(16.7%), 50대(15.9%), 30대(14.8%) 등의 순이었음. 반면 여성은 50대가 23.8%로 가장 많았으며, 40대(19.1%), 20대(14.5%), 30대(13.2%), 60대(10.6%) 등의 순으로 나타남 변수 남성(n=1,067) 여성(n=235) t χ2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연령대 10대미만 9 0.8 4 1.7 - 53.1*** 10대 58 5.4 16 6.8 20대 353 33.1 34 14.5 30대 158 14.8 31 13.2 40대 178 16.7 45 19.1 50대 170 15.9 56 23.8 60대 103 9.7 25 10.6 70대 32 3.0 17 7.2 80대 이상 6 0.6 7 3.0 연령 평균 38.7 45.5 -5.3*** - 증상발현-확진소요일* 7.4 6.5 2.0* *p<.1, **p<.05, ***p<.005 표 4 성별 연령,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비교 남성 여성 그림 4 연령대별 남녀 확진자 분포(%) 80대 이상 70대 60대 50대 40대 30대 20대 10대 10대 미만 40 30 20 10 0 10 20 30 0.6 3.0 7.2 10.6 23.8 19.1 13.2 14.5 6.8 1.7 3.0 9.7 15.9 16.7 14.8 5.4 0.8 33.1 확진자 1,302명 중 현역군인과 제대군인으로 분류된 252명을 제외한 민간인 확진자 1,050명을 대상으로 다시 성별로 연령대, 연령 평균, 증상발현부터 확진까지 소요기간을 비교하였을 때 연령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평균과 증상발현-확진소요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차이를 보임 변수 민간인_남성(n=815) 민간인_여성(n=235) t χ2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연령대 10대미만 9 1.1 4 1.7 - 16.2** 10대 55 6.7 16 6.8 20대 126 15.5 34 14.5 30대 144 17.7 31 13.2 40대 171 21.0 45 19.1 50대 169 20.7 56 23.8 60대 103 12.6 25 10.6 70대 32 3.9 17 7.2 80대 이상 6 0.7 7 3.0 연령 평균 40.6 45.5 -1.6 - 증상발현-확진소요일* 7.1 6.5 1.3 *p<.1, **p<.05, ***p<.005 표 5 민간인 확진자 기준 성별 연령,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비교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