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보고서

13 12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빈도1) 평균 표준편차 χ2 p-value 전체 1,297 7.2 8.2 - - 민간인 1,045 7.0 7.3 7.4 0.02** 현역군인 162 7.8 10.5 제대군인 90 9.3 12.1 1)결측값 제외, *p<.1 **p<.05 ***p<.005 ➋ 말라리아 확진자의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분석 확진자 분류를 민간인, 현역군인, 제대군인으로 나누어 증상발현-확진소요일을 다시 비교하면 전체 평균인 7.2일에 비하여 현역군인은 7.8일, 제대군인은 9.3일로 소요기간이 길었음. 민간인과 현역군인, 제대군인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표 6), 사후검정으로 비교하였을 때 제대군인과 민간인, 현역군인과 제대군인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음 최초방문한 기관에 따라 증상발현-확진 소요일을 분석하였을 때, 가장 소요기간이 긴 기관은 상급종합병원이었으며(10.0일), 그 뒤를 이어 의원(7.7일), 병원(6.9일), 종합병원(6.8일) 등의 순이었음(그림 5). 이때 종별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표 7), 사후검정 결과 상급종합병원과 병원,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종합병원과 의원의 차이가 유의하였음 표 6 확진자 신분별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비교 그림 5 최초방문기관 분류별 증상발현-확진소요일 기타 병원 보건소,의료원 상급종합병원 의원 종합병원 100 75 50 25 0 기타 병원 보건소,의료원 상급종합병원 의원 종합병원 빈도1) 평균 표준편차 χ2 p-value 전체 1,297 7.2 8.2 - - 병원 226 6.9 8.5 25.5 0.000*** 의원 275 7.7 7.0 보건소,의료원 35 6.6 5.4 종병 655 6.8 7.8 상종 101 10.0 12.7 기타 5 3.8 3.8 빈도1) 평균 표준편차 χ2 p-value 전체 1,268 7.2 8.3 - - 고위험지역 372 5.9 5.3 53.7 0.000*** 중위험지역 174 7.2 8.5 저위험지역 436 6.8 7.9 잠재적위험지역 88 7.3 5.3 기타 198 10.6 12.6 표 7 최초방문기관 분류별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비교 표8 지역별 분류에 따른 증상발현-확진소요일 비교 1)결측값 제외, *p<.1, **p<.05, ***p<.005 1)타시도 거주 29건, 결측값 5건 제외, *p<.1, **p<.05, ***p<.005 말라리아 발생 지역을 질병관리청 관리지침(2023)에 따라 읍면동 단위로 고위험지역, 중위험지역, 저위험지역, 잠재적 위험지역(시군 단위)으로 나누고 그 이외를 기타로 분류하여 증상발현-확진 소요일을 분석하였을 때, 전체 평균 7.2일에 비해 고위험 지역과 저위험지역이 각각 5.9일, 6.8일로 평균보다 낮았으나, 중위험지역은 7.2일로 전체 평균과 같았고, 잠재적 위험지역이 7.3일, 기타 지역이 10.6일로 평균보다 소요일이 길었음(그림 6)(표 8). 사후검정 결과 고위험과 기타지역, 중위험과 기타지역, 저위험과 기타지역, 중 차이가 유의하게 달랐음 그림 6 위험도 지역 분류별 증상발현-확진소요일 High risk Medium risk Low risk Potential risk Others 100 75 50 25 0 High risk Medium risk Low risk Potential risk Others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