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보고서

21 20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말라리아 확진자의 공간적 분포를 시군구 단위로 보았을 때, 거주지 기준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시군구는 파주(30.6%), 김포(13.1%), 고양 덕양과 고양 일산서구가 각각 6.5%로 전체의 과반수를 넘게 차지함. 기타 연천 4.3%, 양주 3.9%, 부천 3.5%, 고양 일산동구 3.1% 등의 순으로 발생함. 직장주소 기준으로는 파주 31.6%, 김포 11.5%, 연천 7.1%, 고양 일산서구 5.7%, 고양 덕양 4.6%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으며, 거주지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순위는 변동이 있으나, 상위 5개 시군에 든 시군은 동일하였음 이를 다시 읍면동 단위로 보았을 때, 거주지 기준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시군구는 파주 문산읍(8.6%)이었음. 그 뒤를 이어 파주 목동동(2.5%), 파주 탄현면(2.2%), 고양 덕양구 주교동(2.1%), 파주 동패동(1.9%) 등의 순이었음. 직장주소 기준으로 보았을 때도 가장 많이 발생한 읍면동은 파주시 문산읍(7.3%)였음. 그 뒤를 이어 파주 금촌동(2.5%), 파주 동패동(2.4%), 연천 연천읍(2.3%), 파주 탄현면(2.0%) 등의 순이었음. 시군구 빈도와 비교하였을 때, 상위 5개 순위에서의 거주지, 직장 주소 변동이 다소 크게 나타남 말라리아 확진자의 지역적 분포 04 표 13 말라리아 확진자 발생 시군구 빈도 거주지 기준 직장주소 기준 시군구 빈도 비율 시군구 빈도 비율 1 파주 398 30.6 1 파주 273 31.6 2 김포 171 13.1 2 김포 99 11.5 3 고양 덕양 85 6.5 3 연천 61 7.1 4 고양 일산서 84 6.5 4 고양 일산서 49 5.7 5 연천 56 4.3 5 고양 덕양 40 4.6 6 양주 51 3.9 6 고양 일산동 38 4.4 7 부천 46 3.5 7 부천, 양주 22 2.5 8 고양 일산동 41 3.1 9 포천 20 2.3 9 남양주 33 2.5 10 화성 14 1.6 10 의정부 27 2.1 11 의정부 13 1.5 11 포천 23 1.8 12 수원 장안 11 1.3 12 화성, 성남 분당 21 1.6 13 남양주 10 1.2 14 광명 18 1.4 14 철원, 성남 분당 9 1.0 15 시흥 16 1.2 16 시흥 8 0.9 16 평택 15 1.2 17 평택, 광주 7 0.8 17 수원 장안, 안산 단원, 광주 14 1.1 19 이천, 광명, 안산 단원 6 0.7 표 14 말라리아 확진자 발생 읍면동 빈도 거주지 기준 시군구 읍면동 빈도 비율 1 파주 문산읍 112 8.6 2 파주 목동동 32 2.5 3 파주 탄현면 29 2.2 4 고양 덕양 주교동 27 2.1 5 파주 동패동 25 1.9 6 고양 일산서 대화동, 파주 야당동, 파주 금촌동 24 1.8 9 김포 장기동 22 1.7 10 양주 남방동 21 1.6 11 김포 양촌읍, 김포 풍무동 20 1.5 13 고양 일산서구 일산동 18 1.4 14 파주 와동동 17 1.3 15 파주 아동동, 파주 조리읍, 김포 통진읍, 김포 하성면 16 1.2 19 연천 전곡읍 14 1.1 20 김포 구래동, 김포 운양동. 고양 일산서 덕이동 13 1.0 직장주소 기준 시군구 읍면동 빈도 비율 1 파주 문산읍 63 7.3 2 파주 금촌동 22 2.5 3 파주 동패동 21 2.4 4 연천 연천읍 20 2.3 5 파주 탄현면 17 2.0 6 김포 대곶면 16 1.9 7 고양 일산서 일산동 13 1.5 9 파주 목동동, 파주 파주읍, 김포 풍무동, 파주 법원읍, 파주 월롱면 12 1.4 10 고양 일산서 대화동, 연천 신서면, 김포 양촌읍, 파주 파평면 11 1.3 11 김포 하성면, 김포 통진읍, 파주 광탄면, 고양 일산동 마두동 10 1.2 12 김포 월곶면, 고양 일산서 주엽동, 파주 야당동 9 1.0 13 김포 운양동, 파주 다율동, 파주 조리읍, 연천 전곡읍 8 0.9 14 파주 적성면, 고양 덕양 화정동, 고양 일산동 식사동 7 0.8 16 화성 봉담읍, 파주 문발동 6 0.7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