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보고서

23 22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말라리아 확진자 관리 현황 05 ➊ 5일 이내 진단율 ➋ 3일 이내 역학조사 실시율 빈도(비율) χ2 p-value 5일 이내 진단 5일 초과 진단 전체 644(50.6) 629(49.4) - - 고위험지역 221(59.4) 151(40.6) 39.9 0.000 중위험지역 83(47.7) 91(52.3) 저위험지역 235(53.7) 203(46.3) 잠재적위험지역 39(43.3) 51(56.7) 기타 66(33.2) 133(66.8) 빈도(비율) χ2 p-value 3일 이내 조사 3일 초과 조사 전체 1,126(88.4) 147(11.5) - - 고위험지역 345(92.7) 27(7.3) 24.4 0.000 중위험지역 156(89.7) 18(10.3) 저위험지역 391(89.3) 47(10.7) 잠재적위험지역 70(77.8) 20(22.2) 기타 164(82.4) 35(17.6) 표 15 위험도 지역 분류별 말라리아 5일 이내 진단율 표 16 위험도 지역 분류별 말라리아 3일 이내 역학조사 실시율 질병관리청의 제1기 말라리아 퇴치계획 성과지표인 5일 이내 진단율을 위험도 지역 분류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전체 지역에서 5일 이내 진단된 비율은 50.6%였음. 5일을 초과하여 진단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기타 지역(66.8%)이었으며, 그 뒤를 이어 잠재적위험지역(56.7%), 중위험지역(52.3%)로 나타남.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음(표 15) 마찬가지로 3일 이내 역학조사 실시가 된 비율을 위험도 지역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3일을 초과하여 조사된 비율은 전체에서 11.5%였으며, 고위험지역, 중위험지역, 저위험지역은 각각 7.3%, 10.3%, 10.7%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그러나 기타지역(17.6%), 잠재적위험지역(22.2%)의 경우 3일을 초과하여 조사된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으며, 이 때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표 16) 결론 및 정책 제언 03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