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26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2023년 제1차 중앙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회의 중 ‘말라리아 재퇴치를 위한 실행전략 수립 정책연구용역 결과 보고’5)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감시체계가 수동적 감시체계로, 말라리아 퇴치 인증 신규 국가들의 사례와 비교하여 능동적 감시체계의 운용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음. 경기도는 ’23년 4월 11일 수립된 <경기도 말라리아 퇴치사업 계획 수립>에서 도 말라리아 환자를 ’25년까지 50%로 감소(’22년 236명 → ’25년 120명)을 시작으로, ’27년부터 3년간 환자 발생을 0건으로 유지하여 ’30년 말라리아 퇴치 인증을 목표로 하였음.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체 집단과 특정 집단을 타겟으로 하는 진단소요일의 감소, 빠른 역학조사 실시가 물론 중요하겠으나, 현재의 감시체계로는 무증상 말라리아 감염, 경증의 환자 발견 등이 어려워 확산을 선제적으로 방지하기가 어려움을 감안하였을 때, 도내 능동적 감시 체계의 운용을 고려하는 것이 목표 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질병관리청의 2023 말라리아 관리지침을 참고하면, 현재 한국의 말라리아 관리정책은 감시역학조사-환자/환경 관리-교육/홍보/협력으로 구성되어 있음. 현재 시행하고 있는 환자 전수 감시, 매개모기 및 원충 감시, 역학조사 이외에 1) 관리의 측면에서 위험집단을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2) 고위험지역의 효과적인 매개모기 방제조치, 3) 주민 인식도 제고를 통하여 빠른 진단과 방역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교육·홍보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질병관리청 2023년 말라리아 퇴치사업 대상지역 부록 지역 분류 위험지역 시군구(30) 인천(10)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경기(13) 의정부시, 동두천시,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 일산동구, 고양시 일산서구, 구리시, 남양주시, 파주시, 김포시,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 강원(7) 춘천시, 홍천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지역 분류 고위험지역 시·군·구(8) 읍·면·동(28) 인천 강화군(4) 강화읍, 길상면, 하점면, 교동면 서구(1) 당하동 연수구(1) 청학동 경기 파주시(6) 문산읍, 파주읍, 조리읍, 탄현면, 광탄면, 파평면 김포시(8)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풍무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연천군(2) 연천읍, 전곡읍 고양시 일산서구(3) 대화동, 덕이동, 가좌동 강원 철원군(3) 철원읍, 길말읍, 동송읍 지역 분류 중위험지역 시·군·구(17) 읍·면·동(58) 인천 강화군(8) 선원면, 불은면, 화도면, 내가면, 양사면, 삼산면, 서도면, 영홍면 서구(3) 연희동, 원당동, 마전동 중구(1) 운서동 경기 파주시(3) 법원읍, 월롱면, 적성면 김포시(5) 통진읍, 고촌읍, 장기본동, 사우동, 운양동 연천군(6) 군남면, 청산면, 왕장면, 신서면, 중면, 장남면 고양시 덕양구(4) 주교동, 고양동, 관산동, 화전동 고양시 일산동구(2) 식사동, 정발산동 구리시(1) 인창동 남양주시(6) 와부읍, 진건읍, 퇴계원읍,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양주시(3) 백석읍, 은현면, 광적면 포천시(6) 군내면, 내촌면, 일동면, 영북면, 관인면, 화현면 가평군(1) 가평읍 의정부시(3) 장암동, 가능동, 녹양동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