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보고서

28 2023년 말라리아 잠재적 위험지역 지역 분류 잠재적 위험지역 시·군·구(18) 서울(11) 강서구, 마포구, 은평구, 종로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 강동구 경기(5) 부천시, 시흥시, 하남시, 광주시, 양평군 강원(2) 속초시, 강릉시 지역 분류 저위험지역 시·군·구(30*) 인천 강화군(2), 서구(19), 여수구(14), 중구(10), 동구(11), 미추홀구(21), 남동구(20), 부평구(22), 계양구(12), 옹진군(6) 경기 파주시(8), 김포시(1), 연천군(2), 고양시 덕양구(17), 고양시 일산동구(10), 구리시(7), 남양주시(10), 양주시(8), 포천시(8), 가평군(5), 의정부시(11), 동두천시(8), 고양시 일산서구(8) 강원 철원군(7), 홍천군(8), 춘천시(22), 화천군(5), 양구군(5), 인제군(6), 고성군(6) 지역 분류 중위험지역 시·군·구(17) 읍·면·동(58) 강원 철원군(1) 서면 홍천군(2) 내촌면, 서면 춘천시(3) 서면, 근화동, 퇴계동 *저위험지역 괄호 안의 수는 읍면동 수를 나타냄 참고문헌 ➊ Cho, S. Y., Kong, Y., Park, S. M., Lee, J. S., Lim, Y. A., Chae, S. L., ... & Shin, H. K. (1994). Two vivax malaria cases detected in Korea. Korean J Parasitol, 32(4), 281-284. ➋ 질병관리청. (2023). 2023년도 말라리아 관리지침. ➌ 고원규. (2007). 국내 말라리아의 재유행. 대한의사협회지, 50(11), 959-966 ➍ 김현정., 이소담., 신나리., 황경원. (2023). 최근 5년간(2018-2022년) 국내 말라리아 발생 및 환자관리 현황 분석. Public Health Weekly Report. 16(26), 852-866. ➎ 김종헌., 김성혜., 염준섭. (2023). 말라리아 재퇴치를 위한 실행전략 수립 정책연구용역 결과보고. 2023년 제1차 중앙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회의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