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06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분석 분석 02 ➊ 분석 자료원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시스템에 신고되어 역학조사서가 기재된 자료 1,337건 중 (1) 최종환자 정의가 ‘환자’ 및 ‘병원체 보유자’이거나, (2) 최종환자로 정의되지 않았으나 발병구분이 기재되어 있는 1,302건 분석 기간은 2018년 1월 1일부터 2023년 7월 31일임 *최종환자 정의: 환자(928), 병원체보유자(1), 의사환자(15), 환자아님(20), 미기재(373) 인구사회학적, 역학적 특성, 치료 및 진단 관련 특성을 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연령대, 신분별로 빈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음. 성별 평균 연령과 증상발현-확진 소요일, 민간인 성별에 따른 연령, 증상발현-확진소요일, 확진자 분류별 증상발현-확진 소요일, 최초방문기관 종별 증상발현-확진소요일, 지역별 분류에 따른 증상발현-확진소요일을 비교하기 위해 데이터의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검토하였을 때 정규성, 등분산성이 모두 위반되는 것으로 나타나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Bonferroni 검정을 시행하였음 또한 말라리아 관리의 측면에서, 신고 후 3일 이내 역학조사 실시율(주말 제외)을 지역 분류에 따라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마찬가지 방법으로 증상 발생 후 5일 이내 진단율 또한 지역에 따라 비교하였음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은 Microsoft Excel(Excel 2013)과 R(version x64 4.0.5)을 사용하였음 ➋ 분석 방법 경기도 말라리아 확진 특성 02 01 인구사회학적 특성 02 역학적 특성 03 치료 및 진단 관련 특성 04 지역적 분포 05 관리 현황
RkJQdWJsaXNoZXIy MTMyNzcxNA==